탐서일지 #11. 프리드리히 니체, 『도덕의 계보』 I
2024-08-25대학에서 지난 3년 동안 나는 니체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왔다. ‘망치를 든 철학자’ 니체의 말을 곱씹은 끝에, 마침내 나는 그에 대한 평가, 그의 사상에 대한 비평 준비가 만족스러운 수준에 달했다는 직감에 도달했다. 니체에 대한 부분적 〈침묵〉을 중단할 때가 된 것이다.
카페지기 커피사유의 커피와 사유(思惟)가 있는 공간.
대학에서 지난 3년 동안 나는 니체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왔다. ‘망치를 든 철학자’ 니체의 말을 곱씹은 끝에, 마침내 나는 그에 대한 평가, 그의 사상에 대한 비평 준비가 만족스러운 수준에 달했다는 직감에 도달했다. 니체에 대한 부분적 〈침묵〉을 중단할 때가 된 것이다.
과학고등학교 후배에게서 던져진 질문: “테드 창의 《네 인생의 이야기》의 헵타포드의 언어와 인간의 언어는 본질적으로 같은가?” 서로 다른 세 층위에서의 서로 다른 세 대답. ‘본질성’의 층위를 알 수 없는 한, 대답은 여전히 열려 있다.
내가 음악을 바라보는 이러한 가치관은 하루아침에 정립된 것이 아니다. 들어왔던 음악들 각각이 제공해준 특별한 경험들이 스스로의 삶과 상호작용한 결과로서 탄생한 것이다. 어떠한 음악을 지금까지 들어왔고, 음악에 대한 생각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막혔던 만년필의 잉크가 조금 녹아 다시 흐르기 시작하듯, 학문하는 자 · 탐구하는 자로서의 명민함과 철학함이 다시 되돌아오는 듯하다. 그러나 하루라도 잉크가 흐르지 못하면 쉽게 펜촉이 막혀버리듯, 사람의 정신 또한 수양하지 않으면 금세 퇴폐되고 맘을 지난 학기의 경험으로 나는 잘 알고 있다. 개강이 눈앞이다. 다시 일어나 읽고 쓸 때인 것이다.
나는 클래식을 좋아한다. 그러나 무엇 때문에 그러한지는 지금까지 제대로 알고 있지 않았다. SNUPO 제62회 정기연주회에서 나는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클래식의 ‘어떤’ 특징 때문이었다.
한 구석에서 2년 동안 묵은 편지다. 이제는 기록해두어도 될 만한 시간들을 보내지 않았을까 싶다. 그때 선물하던, 편지를 부치던 그 마음 그대로 여기에서도.
오랜만에 다시 몇 줄들을 휘갈긴 듯 하다. 2월 15일부터 20일까지 써 둔 글들을 조금씩 다듬어 다시 옮겼다. 여행에서 느낀 괴상한 느낌들부터 연구실의 숨막히는 일상에 대한 발단-절정-위기-결말까지. 다사다난한 때다.